Skip to content

Commit 2b81715

Browse files
committed
/src/guide/reusability - 용어 변경
지시문 → 디렉티브 글로벌 → 전연 상위 → 부모 하위 → 자식 (상.하위 인스턴스, 최상위 컴포넌트는 별도 가이드 없으므로 유지) (예제보기 외부링크는 제외)
1 parent 12ec179 commit 2b81715

24 files changed

+120
-120
lines changed

ko-KR/src/api/application.md

Lines changed: 2 additions & 2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26,7 +126,7 @@ Unmounts a mounted application instance, triggering the unmount lifecycle hooks
126126

127127
Provide a value that can be injected in all descendent components within the application.
128128

129-
애플리케이션 내의 모든 하위 컴포넌트에 주입할 수 있는 값을 제공합니다.
129+
애플리케이션 내의 모든 자식 컴포넌트에 주입할 수 있는 값을 제공합니다.
130130

131131
- **Type**
132132

@@ -224,7 +224,7 @@ Registers a global component if passing both a name string and a component defin
224224

225225
Registers a global custom directive if passing both a name string and a directive definition, or retrieves an already registered one if only the name is passed.
226226

227-
이름 문자열과 지시문 정의를 모두 전달하는 경우 전역 사용자 정의 지시문을 등록하거나 이름만 전달된 경우 이미 등록된 지시문을 검색합니다.
227+
이름 문자열과 디렉티브 정의를 모두 전달하는 경우 전역 사용자 정의 디렉티브를 등록하거나 이름만 전달된 경우 이미 등록된 디렉티브를 검색합니다.
228228

229229

230230
- **Type**

ko-KR/src/api/component-instance.md

Lines changed: 2 additions & 2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82,7 +182,7 @@ The root component instance of the current component tree. If the current instan
182182

183183
An object representing the [slots](/guide/components/slots.html) passed by the parent component.
184184

185-
상위 컴포넌트에 의해 전달된 [슬롯](/guide/components/slots.html)을 나타내는 개체입니다.
185+
부모 컴포넌트에 의해 전달된 [슬롯](/guide/components/slots.html)을 나타내는 개체입니다.
186186

187187

188188
- **Type**
@@ -455,7 +455,7 @@ Instance-bound version of the global [`nextTick()`](./general.html#nexttick).
455455
The only difference from the global version of `nextTick()` is that the callback passed to `this.$nextTick()` will have its `this` context bound to the current component instance.
456456

457457

458-
`nextTick()`글로벌 버전과 유일한 차이점은 `this.$nextTick()`에 전달된 콜백이 현재 컴포넌트 인스턴스에 바인딩된 `this` 컨텍스트를 갖는다는 것입니다.
458+
`nextTick()`전역 버전과 유일한 차이점은 `this.$nextTick()`에 전달된 콜백이 현재 컴포넌트 인스턴스에 바인딩된 `this` 컨텍스트를 갖는다는 것입니다.
459459

460460

461461
- **See also:** [`nextTick()`](./general.html#nexttick)

ko-KR/src/api/composition-api-dependency-injection.md

Lines changed: 3 additions & 3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8,7 +8,7 @@
88

99
Provides a value that can be injected by descendent components.
1010

11-
하위 컴포넌트에 값을 주입합니다.
11+
자식 컴포넌트에 값을 주입합니다.
1212

1313
- **Type**
1414

@@ -63,7 +63,7 @@ Provides a value that can be injected by descendent components.
6363

6464
Injects a value provided by an ancestor component or the application (via `app.provide()`).
6565

66-
상위 컴포넌트 또는 애플리케이션(`app.provide()`을 통해)에서 제공된 값을 주입 받는다.
66+
부모 컴포넌트 또는 애플리케이션(`app.provide()`을 통해)에서 제공된 값을 주입 받는다.
6767

6868
- **Type**
6969

@@ -109,7 +109,7 @@ Injects a value provided by an ancestor component or the application (via `app.p
109109

110110
Assuming a parent component has provided values as shown in the previous `provide()` example:
111111

112-
상위 컴포넌트가 이전 `provide()` 예제와 같이 값을 제공했다고 가정합니다:
112+
부모 컴포넌트가 이전 `provide()` 예제와 같이 값을 제공했다고 가정합니다:
113113

114114

115115

ko-KR/src/api/composition-api-lifecycle.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243,7 +243,7 @@ Registers a hook to be called right before a component instance is to be unmount
243243

244244
Registers a hook to be called when an error propagating from a descendent component has been captured.
245245

246-
하위 컴포넌트에서 에러가 전파되었다면 호출됩니다.
246+
자식 컴포넌트에서 에러가 전파되었다면 호출됩니다.
247247

248248
- **Type**
249249

ko-KR/src/api/options-lifecycle.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258,7 +258,7 @@ Called after the component has been unmounted.
258258

259259
Called when an error propagating from a descendent component has been captured.
260260

261-
하위 컴포넌트에서 에러가 전파되었다면 호출됩니다.
261+
자식 컴포넌트에서 에러가 전파되었다면 호출됩니다.
262262

263263

264264
- **Type**

ko-KR/src/guide/built-ins/keep-alive.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31,7 +131,7 @@ export default {
131131

132132
- <span class="composition-api"><code>onActivated</code></span> <span class="options-api"><code>activated</code></span> 는 마운트 시에도 호출되고 <span class="composition-api"><code>onDeactivated</code></span> 는 마운트 해제 시 <span class="options-api"><code>deactivated</code></span> 됩니다.
133133

134-
- 두 훅 모두 `<KeepAlive>` 에 의해 캐시된 루트 컴포넌트뿐만 아니라 캐시된 트리의 하위 컴포넌트에서도 작동합니다.
134+
- 두 훅 모두 `<KeepAlive>` 에 의해 캐시된 루트 컴포넌트뿐만 아니라 캐시된 트리의 자식 컴포넌트에서도 작동합니다.
135135

136136
---
137137

ko-KR/src/guide/built-ins/suspense.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01,7 +101,7 @@ resolved 상태에서 `<Suspense>` 는 `#default` 슬롯의 루트 노드가 교
101101

102102
## 오류 처리 {#error-handling}
103103

104-
`<Suspense>` 는 현재 컴포넌트 자체를 통해 오류를 처리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errorCaptured`](/api/options-lifecycle.html#errorcaptured) 옵션 또는 [`onErrorCaptured()`](/api/composition-api-lifecycle.html#onerrorcaptured) 훅을 사용하여 `<Suspense>`상위 컴포넌트에서 비동기 오류를 캡처하고 처리할 수 있습니다.
104+
`<Suspense>` 는 현재 컴포넌트 자체를 통해 오류를 처리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errorCaptured`](/api/options-lifecycle.html#errorcaptured) 옵션 또는 [`onErrorCaptured()`](/api/composition-api-lifecycle.html#onerrorcaptured) 훅을 사용하여 `<Suspense>`부모 컴포넌트에서 비동기 오류를 캡처하고 처리할 수 있습니다.
105105

106106
## 다른 컴포넌트와 결합 {#combining-with-other-components}
107107

ko-KR/src/guide/components/attrs.md

Lines changed: 2 additions & 2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34,7 +34,7 @@ outline: deep
3434

3535
### `class``style`의 병합
3636

37-
하위 컴포넌트의 루트 엘리먼트에 이미 `class` 또는 `style` 속성이 있는 경우, 상위 엘리먼트에서 상속된 `class` 또는 `style` 값과 병합됩니다.
37+
자식 컴포넌트의 루트 엘리먼트에 이미 `class` 또는 `style` 속성이 있는 경우, 상위 엘리먼트에서 상속된 `class` 또는 `style` 값과 병합됩니다.
3838
이전 예에서 `<MyButton>`의 템플릿을 다음과 같이 변경한다면:
3939

4040
```vue-html
@@ -57,7 +57,7 @@ outline: deep
5757
```
5858

5959
`click` 리스너는 `<MyButton>`의 루트 엘리먼트인 `<button>` 엘리먼트에 추가됩니다.
60-
`<button>`을 클릭하면 상위 컴포넌트의 `onClick` 메소드가 트리거됩니다.
60+
`<button>`을 클릭하면 부모 컴포넌트의 `onClick` 메소드가 트리거됩니다.
6161
`<button>`에 이미 `v-on`으로 바인딩된 `click` 리스너가 있는 경우 두 리스너가 모두 트리거됩니다.
6262

6363
### 중첩된 컴포넌트 상속

ko-KR/src/guide/components/events.md

Lines changed: 1 addition & 1 deletion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410,7 +410,7 @@ const value = computed({
410410
<MyComponent v-model:title="bookTitle" />
411411
```
412412

413-
이 경우 하위 컴포넌트는 `title` prop을 예상하고 `update:title` 이벤트를 내보내 상위 값을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413+
이 경우 자식 컴포넌트는 `title` prop을 예상하고 `update:title` 이벤트를 내보내 상위 값을 업데이트해야 합니다:
414414

415415
<div class="composition-api">
416416

ko-KR/src/guide/components/props.md

Lines changed: 5 additions & 5 deletions
Original file line numberDiff line numberDiff line change
@@ -148,7 +148,7 @@ export default {
148148
<span>{{ greetingMessage }}</span>
149149
```
150150

151-
기술적으로 props를 하위 컴포넌트에 전달할 때 camelCase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DOM 템플릿](/guide/essentials/component-basics.html#dom-템플릿-파싱-주의-사항) 제외).
151+
기술적으로 props를 자식 컴포넌트에 전달할 때 camelCase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DOM 템플릿](/guide/essentials/component-basics.html#dom-템플릿-파싱-주의-사항) 제외).
152152
그러나 camelCase로 선언된 props 속성일지라도 관례적으로 HTML 속성 표기법과 동일하게 kebab-case로 표기해서 사용하도록 해야 합니다:
153153

154154
```vue-html
@@ -284,7 +284,7 @@ const post = {
284284
부모 속성이 업데이트되면 자식으로 흐르지만 그 반대는 안됩니다.
285285
이렇게 하면 자식 컴포넌트가 실수로 부모의 상태를 변경하여 앱의 데이터 흐름을 이해하기 어렵게 만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286286

287-
또한 상위 컴포넌트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하위 컴포넌트의 모든 props가 최신 값으로 업데이트 됩니다.
287+
또한 부모 컴포넌트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자식 컴포넌트의 모든 props가 최신 값으로 업데이트 됩니다.
288288
따라서 자식 컴포넌트 내부에서 props를 변경하려 하면 **안 됩니다**.
289289
그렇지 않을 경우, Vue는 콘솔에서 다음과 같이 경고합니다.
290290

@@ -380,7 +380,7 @@ export default {
380380
객체와 배열이 props로 전달되면, 자식 컴포넌트는 바인딩된 prop을 변경할 수는 없지만, **객체 또는 배열의 중첩 속성을 변경할 수는 있습니다.**
381381
이것은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와 배열이 참조로 전달되고, Vue가 이런 변경까지 방지하는 것은 너무 큰 비용이 들기 때문에 수행 하지 않습니다.
382382

383-
이러한 구현의 주요 단점은 하위 컴포넌트가 명확하지 않은 방식으로 상위 컴포넌트의 상태에 영향을 미쳐 잠재적으로 향후 데이터 흐름에 대한 추론을 어렵게 만든다는 것입니다.
383+
이러한 구현의 주요 단점은 자식 컴포넌트가 명확하지 않은 방식으로 부모 컴포넌트의 상태에 영향을 미쳐 잠재적으로 향후 데이터 흐름에 대한 추론을 어렵게 만든다는 것입니다.
384384
가장 좋은 방법은 부모와 자식이 의도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지 않는 한 이러한 변경을 피하는 것이며,
385385
필요 시 자식은 부모가 변경을 수행할 수 있도록 [emit 이벤트](/guide/components/events.html)를 호출하는 방식으로 구현해야 합니다.
386386

@@ -419,7 +419,7 @@ defineProps({
419419
type: Object,
420420
// 객체 또는 배열 기본값은 팩토리 함수에서 반환되어야 합니다.
421421
// 함수는 컴포넌트에서 받은 rawProps를 인수로 받습니다.
422-
// (rawProps를: 상위 컴포넌트에게 받은 props 전체 객체)
422+
// (rawProps를: 부모 컴포넌트에게 받은 props 전체 객체)
423423
default(rawProps) {
424424
return { message: '안녕!' }
425425
}
@@ -474,7 +474,7 @@ export default {
474474
type: Object,
475475
// 객체 또는 배열 기본값은 팩토리 함수에서 반환되어야 합니다.
476476
// 함수는 컴포넌트에서 받은 rawProps를 인수로 받습니다.
477-
// (rawProps를: 상위 컴포넌트에게 받은 props 전체 객체)
477+
// (rawProps를: 부모 컴포넌트에게 받은 props 전체 객체)
478478
default(rawProps) {
479479
return { message: '안녕!' }
480480
}

0 commit comments

Comments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