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Open
Show file tree
Hide file tree
Changes from all commits
Commits
Show all changes
57 commits
Select commit Hold shift + click to select a range
9c7cf85
Update README.md
theSnackOverflow Sep 24, 2025
a50007f
week1-mori 과제 제출
rlown Sep 25, 2025
87f85fc
매미 1주차 과제
MunJinYeong Sep 26, 2025
3a96258
[#2]docs: week1.md 작성
theSnackOverflow Sep 26, 2025
f62446d
[#2]docs: .gitignore 생성
theSnackOverflow Sep 26, 2025
142c670
[Feat] first commit
jihoonkim501 Sep 27, 2025
1a06605
1주차 과제
Choe-Jong-Geon Sep 28, 2025
540b2f4
최종건 1주차
Choe-Jong-Geon Sep 28, 2025
b40ba45
week1 mission completed.
smileman62 Sep 28, 2025
1ae2147
week1 mission completed.
smileman62 Sep 28, 2025
df8c9c9
week1-sandy
gyogyo05 Sep 28, 2025
89b5ccc
1주차 과제 제출
Sharon0320 Sep 28, 2025
70c9c09
week1 mission clear
SeojunKim-pumisj Sep 29, 2025
29210af
modify first commit
SeojunKim-pumisj Sep 29, 2025
646e1a3
week1: add .PE file
jeniferkim Sep 30, 2025
c75ce2e
week1: move week1.md into week1 folder
jeniferkim Sep 30, 2025
7a132f4
fix: place week1.md at repo root and ignore ignore.md as required
jeniferkim Sep 30, 2025
69ab691
first commit
kangyeson Sep 30, 2025
acaa65c
1주차 워크북
Oct 2, 2025
22af2f4
first commit
kimtg1017 Oct 3, 2025
3c858da
WIP: Final local
kimtg1017 Oct 3, 2025
c6d01da
1week
imminyoung Oct 4, 2025
0b9fb2d
week1: add week1.md and .gitignore to ignore ignore.md
guingguing Oct 4, 2025
9fc3e32
Merge pull request #21 from Gachon-UMC/week1-teemo
theSnackOverflow Oct 5, 2025
533b1c5
Merge branch 'main' into week1-2ssac
theSnackOverflow Oct 5, 2025
ff90e42
Merge pull request #3 from Gachon-UMC/week1-2ssac
theSnackOverflow Oct 5, 2025
140e204
Merge branch 'main' into week1-maemi
theSnackOverflow Oct 5, 2025
c325548
Merge pull request #1 from Gachon-UMC/week1-maemi
theSnackOverflow Oct 5, 2025
da46224
충돌 해결
theSnackOverflow Oct 5, 2025
5ff8cb7
충돌 해결
theSnackOverflow Oct 5, 2025
c3630c2
Merge branch 'main' into week1-chillsung
theSnackOverflow Oct 5, 2025
aebd4b1
Merge pull request #5 from Gachon-UMC/week1-chillsung
theSnackOverflow Oct 5, 2025
9bbc42a
Merge branch 'main' into week1-mori
theSnackOverflow Oct 5, 2025
14de173
Merge pull request #6 from Gachon-UMC/week1-mori
theSnackOverflow Oct 5, 2025
32c3c38
Merge pull request #7 from Gachon-UMC/week1-sandy
theSnackOverflow Oct 5, 2025
dd42090
Merge branch 'main' into week1-sharon
theSnackOverflow Oct 5, 2025
f93c6af
Merge pull request #8 from Gachon-UMC/week1-sharon
theSnackOverflow Oct 5, 2025
b11ce94
Merge branch 'main' into week1-pumi
theSnackOverflow Oct 5, 2025
b77ab8c
Merge pull request #10 from Gachon-UMC/week1-pumi
theSnackOverflow Oct 5, 2025
6f7cac1
Merge branch 'main' into week1-jen
theSnackOverflow Oct 5, 2025
a17e737
Merge pull request #11 from Gachon-UMC/week1-jen
theSnackOverflow Oct 5, 2025
8d81f97
Merge branch 'main' into week1-yessi
theSnackOverflow Oct 5, 2025
cc93acd
Merge pull request #12 from Gachon-UMC/week1-yessi
theSnackOverflow Oct 5, 2025
955f380
Merge branch 'main' into week1-yosi
theSnackOverflow Oct 5, 2025
859446c
Merge pull request #13 from Gachon-UMC/week1-yosi
theSnackOverflow Oct 5, 2025
ddf01d2
[week1] 예디/차예린 (#15)
yerin-lab Oct 5, 2025
09a8860
[Week1] 누누/정찬원 (#16)
JeongCW0522 Oct 5, 2025
ab3bbf8
[Week1] 가넷/김도연 (#17)
hidoKim Oct 5, 2025
fe2ebed
Week1 과제 제출 (#18)
jiwoo-1203 Oct 5, 2025
91ea70d
git workbook week1 eden (#19)
yeon-ju12 Oct 5, 2025
fd0fc57
Merge pull request #20 from Gachon-UMC/week1-cheshire
theSnackOverflow Oct 5, 2025
da736a5
충돌 해결
theSnackOverflow Oct 5, 2025
f364c52
.DS_Store 제거
theSnackOverflow Oct 5, 2025
ba479f9
Merge pull request #14 from Gachon-UMC/week1-tg
theSnackOverflow Oct 5, 2025
c06becf
remove: main 브랜치 최신화
theSnackOverflow Oct 5, 2025
ff0de76
week1 실습 완료
wldmsdl7 Oct 5, 2025
8a29cd1
week1 실습
wldmsdl7 Oct 5, 2025
File filter

Filter by extension

Filter by extension

Conversations
Failed to load comments.
Loading
Jump to
Jump to file
Failed to load files.
Loading
Diff view
Diff view
1 change: 1 addition & 0 deletions .gitignore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 @@
ignore.md
2 changes: 1 addition & 1 deletion README.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1,7 +1,7 @@
# Git-Study
### 💻 실행 환경 안내
과제 확인과 수행, 인증은 모두 CLI 환경에서 진행됩니다.
> 맥의 경우 `Git_Study` 폴더 위에서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신 후 `서비스` > `폴더에서 새로운 터미널 열기`를 클릭하셔서 터미널을 실행해주세요!
> 맥의 경우 `9th_UMC_Git_Workbook` 폴더 위에서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신 후 `서비스` > `폴더에서 새로운 터미널 열기`를 클릭하셔서 터미널을 실행해주세요!
> 윈도우의 경우 Git Bash를 이용해 진행해주세요.
Expand Down
50 changes: 50 additions & 0 deletions week1.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50 @@
## Git 이란?
**파일의 변경 사항을 추적**하고 **여러 사용자 간에 해당 파일들의 작업들을 조율**하기 위한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
1. 파일의 변경 사항을 추적
정확히 언제 파일을 수정했는지, 그 때 파일 내에서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기록해주기 때문에 특정 시점에서 이전 내용을 언제든지 다시 꺼내볼 수 있습니다. 또한 기록은 로그 형식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파일을 여러 개 저장하지 않아도 됩니다.

2. 여러 사용자 간에 해당 파일들의 작업들을 조율
Git을 이용할 때는 Github와 같은 원격 저장소를 활용하게 됩니다. Github를 이용해 파일 또는 폴더를 다운받으면 해당 파일(또는 폴더)의 기록 또한 사용자의 컴퓨터(로컬)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모든 사용자가 완전히 동일한 작업 내용을 공유할 수 있으니 원활한 협업이 가능해집니다.

3.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
여러 명이 한 파일(또는 폴더)에 접근해 개별적으로 작업하고, 작업 결과를 기록으로서 반영하는 시스템입니다.

## 내 파일 관리 방법
1. 나의 작업 공간, **Working Directory**
내가 현재 작업하고 있는 공간(폴더)를 워킹 디렉토리(working directory)라고 부릅니다.
보통 보안 등의 문제로 원격 레포에 올라가지 못하는 파일들은 `.gitignore`라는 파일을 생성해 해당 파일들을 모두 넣어주는 방식으로 관리하게 됩니다. `.gitignore`로 처리된 파일들은 변화가 생겨도 추적되지 않고, 원격 레포에도 올라가지 않습니다.

2. 내 파일의 변경사항을 반영하는 **Staging Area**
선택적으로 파일을 커밋하기 위해 `staged` 단계가 존재합니다. 이렇게 `staged` 상태가 된 파일들을 `staging area`에 있다고 부릅니다.

3. 내 작업이 기록되는 곳, **Local Repository**
commit을 통해 파일의 변경 사항을 기록하는 곳을 Local Repository라고 부릅니다.

## Git의 사용법
1. 원격 레포 생성하고 로컬 레포와 연결하기
2. .gitignore 로 파일 추적되지 않게 관리하기
3. add, commit, push로 내 파일 추적 상태 관리하기
4. 내 파일 상태 확인하기

## Branch란?
1. 내가 작업하는 독립적인 영역, **Branch**
2. 브랜치 만들고 전환하기
3. 브랜치 merge하기

## 커밋 기록 확인 방법
1. git log 조회하기
- 커밋 기본 구성
- 커밋 해시: `commit 691ceb4268ec2c5b2d1afd79dd41f5783dcfac46`
- 커밋 생성자: `youz2me <[email protected]>`
- 커밋 일시: `Sun Sep 22 18:34:03 2024 +0900`
- 커밋 메시지: `fix: validate 명령어 파라미터 안들어가게 수정`

2. 내 브랜치의 가장 최신 주소, HEAD
모든 브랜치에는 HEAD라는 값이 존재합니다. HEAD는 현재 브랜치의 최신 커밋를 참조하는 값으로, 현재 내가 위치하고 있는 브랜치의 최신 커밋을 포인터로 가리키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 Issue와 PR의 차이, 그리고 사용법
1. 나의 작은 목표를 Issue로 설정하기
이슈는 크게 *제목과 내용, Assignees와 Labels, Projects, Milestone, Development*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2. 내 작업을 메인 브랜치에 반영할 때는? Pull Request 올리기
- git log : 커밋 해시와 함께 커밋 일시, 생성한 사람을 보여준다.
1 change: 1 addition & 0 deletions week1/.gitignore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 @@
ignore.md
20 changes: 10 additions & 10 deletions week1/info.sh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1,11 +1,11 @@
echo "===============================1주차 과제==============================="
echo "0. \"week1-(본인 닉네임)\"으로 브랜치를 생성하신 후 해당 브랜치로 이동해주세요! (e.g. week1-zimging)"
echo "1. week1.md 파일을 생성해주세요!"
echo "2. markdown 문법을 이용해 1주차에 배운 내용을 week1.md 파일에 정리해주세요!"
echo "3. ignore.md 파일을 생성한 뒤 아무 내용이나 작성해주세요!"
echo "4. gitignore 파일을 생성해 ignore.md 파일을 추적 해제하도록 설정해주세요!"
echo "5. 모든 파일을 add하는 명령어를 사용해 add한 후, commit해 주세요!"
echo "6. (명령어)를 사용해 위의 내용을 올바르게 실습했는지 확인해주세요!"
echo "7. \"모든 과제가 확인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확인하셨다면, 캡쳐하신 후 week1 브랜치를 push해주세요!"
echo "8. 양식에 맞춰 Pull Request를 작성해주세요!"
echo "===============================1주차 과제==============================="
echo "0. \"week1-(본인 닉네임)\"으로 브랜치를 생성하신 후 해당 브랜치로 이동해주세요! (e.g. week1-zimging)"
echo "1. week1.md 파일을 생성해주세요!"
echo "2. markdown 문법을 이용해 1주차에 배운 내용을 week1.md 파일에 정리해주세요!"
echo "3. ignore.md 파일을 생성한 뒤 아무 내용이나 작성해주세요!"
echo "4. gitignore 파일을 생성해 ignore.md 파일을 추적 해제하도록 설정해주세요!"
echo "5. 모든 파일을 add하는 명령어를 사용해 add한 후, commit해 주세요!"
echo "6. (명령어)를 사용해 위의 내용을 올바르게 실습했는지 확인해주세요!"
echo "7. \"모든 과제가 확인되었습니다\"라는 메시지를 확인하셨다면, 캡쳐하신 후 week1 브랜치를 push해주세요!"
echo "8. 양식에 맞춰 Pull Request를 작성해주세요!"
echo "======================================================================="
3 changes: 2 additions & 1 deletion week1/validate.sh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Expand Up @@ -54,7 +54,8 @@ if git log --pretty=format:"%H" -- ignore.md | grep -q '.'; then
fi

if $week1_committed && ! $ignore_committed; then
echo " ✅ week1.md 파일이 커밋되었습니다.\n ✅ ignore.md 파일이 정상적으로 .gitignore에 추가되었습니다."
echo " ✅ week1.md 파일이 커밋되었습니다.
✅ ignore.md 파일이 정상적으로 .gitignore에 추가되었습니다."
else
if ! $week1_committed; then
echo " ❌ week1.md 파일이 커밋되지 않았습니다."
Expand Down
50 changes: 50 additions & 0 deletions week1/week1.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50 @@
## Git 이란?
**파일의 변경 사항을 추적**하고 **여러 사용자 간에 해당 파일들의 작업들을 조율**하기 위한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
1. 파일의 변경 사항을 추적
정확히 언제 파일을 수정했는지, 그 때 파일 내에서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기록해주기 때문에 특정 시점에서 이전 내용을 언제든지 다시 꺼내볼 수 있습니다. 또한 기록은 로그 형식으로 관리되기 때문에 파일을 여러 개 저장하지 않아도 됩니다.

2. 여러 사용자 간에 해당 파일들의 작업들을 조율
Git을 이용할 때는 Github와 같은 원격 저장소를 활용하게 됩니다. Github를 이용해 파일 또는 폴더를 다운받으면 해당 파일(또는 폴더)의 기록 또한 사용자의 컴퓨터(로컬)에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모든 사용자가 완전히 동일한 작업 내용을 공유할 수 있으니 원활한 협업이 가능해집니다.

3. 분산 버전 관리 시스템
여러 명이 한 파일(또는 폴더)에 접근해 개별적으로 작업하고, 작업 결과를 기록으로서 반영하는 시스템입니다.

## 내 파일 관리 방법
1. 나의 작업 공간, **Working Directory**
내가 현재 작업하고 있는 공간(폴더)를 워킹 디렉토리(working directory)라고 부릅니다.
보통 보안 등의 문제로 원격 레포에 올라가지 못하는 파일들은 `.gitignore`라는 파일을 생성해 해당 파일들을 모두 넣어주는 방식으로 관리하게 됩니다. `.gitignore`로 처리된 파일들은 변화가 생겨도 추적되지 않고, 원격 레포에도 올라가지 않습니다.

2. 내 파일의 변경사항을 반영하는 **Staging Area**
선택적으로 파일을 커밋하기 위해 `staged` 단계가 존재합니다. 이렇게 `staged` 상태가 된 파일들을 `staging area`에 있다고 부릅니다.

3. 내 작업이 기록되는 곳, **Local Repository**
commit을 통해 파일의 변경 사항을 기록하는 곳을 Local Repository라고 부릅니다.

## Git의 사용법
1. 원격 레포 생성하고 로컬 레포와 연결하기
2. .gitignore 로 파일 추적되지 않게 관리하기
3. add, commit, push로 내 파일 추적 상태 관리하기
4. 내 파일 상태 확인하기

## Branch란?
1. 내가 작업하는 독립적인 영역, **Branch**
2. 브랜치 만들고 전환하기
3. 브랜치 merge하기

## 커밋 기록 확인 방법
1. git log 조회하기
- 커밋 기본 구성
- 커밋 해시: `commit 691ceb4268ec2c5b2d1afd79dd41f5783dcfac46`
- 커밋 생성자: `youz2me <[email protected]>`
- 커밋 일시: `Sun Sep 22 18:34:03 2024 +0900`
- 커밋 메시지: `fix: validate 명령어 파라미터 안들어가게 수정`

2. 내 브랜치의 가장 최신 주소, HEAD
모든 브랜치에는 HEAD라는 값이 존재합니다. HEAD는 현재 브랜치의 최신 커밋를 참조하는 값으로, 현재 내가 위치하고 있는 브랜치의 최신 커밋을 포인터로 가리키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 Issue와 PR의 차이, 그리고 사용법
1. 나의 작은 목표를 Issue로 설정하기
이슈는 크게 *제목과 내용, Assignees와 Labels, Projects, Milestone, Development*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2. 내 작업을 메인 브랜치에 반영할 때는? Pull Request 올리기
- git log : 커밋 해시와 함께 커밋 일시, 생성한 사람을 보여준다.